회사 생활하면서 한 번 즈음 상사에게 하게되는 어려운 부탁
계약 조건을 바꾼다던가, 피치못하게 장기휴가를 가야하는 상황 등 회사나 팀에 큰 폐를 끼칠 것으로 사려가 되어 걱정이 되는 순간은 오랜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한 번 즈음 생기는 불가피한 부분입니다.
아주 어려운 부탁을 하기 전, 상사에게 장문의 이메일을 보낼 때 작성했던 서두 입니다.
I'm writing in order to talk to you about a tough subject for me.
저에게 있어서 굉장히 꺼내기 어려웠던 일로 메일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I'm kind of cautious since I assume you may not welcome the request, but I hope you would be willing to understand that I thought hard about how I should tell you and I've given this a great deal of thought so far.
제 요청을 반기지 못할 것이라 사려되어 조심스러웠으나 이렇게 이메일을 드리기까지 정말 많은 고민을 했다는 점에 대해 기꺼이 이해해주시리라 생각합니다.
Rather than I would speak to you directly, I've decided that I better email you after I totally straighten out my thoughts.
곧바로 말씀드리는 것보다는, 충분히 제 생각을 정리를 한 후 이메일을 드리는 게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I would like you to check on whether you could convert my contract to that of { }.
제 계약조건을 { } 로 변경해주실 수 있으실지 여쭙니다.
Above all, the fact that another colleague recently had a conversation with you regarding the same subject never affected me, nor did I become tired of the recent huge event.
무엇보다도 최근에 다른 동료가 당신과 같은 주제로 이미 이야기나눴다는 점에 영향을 받은 것은 절대 아니며, 최근 개최한 대규모 이벤트 때문에도 아닙니다.
I've actually been hoping for a chance to speak with you since early September, but I just didn't decide on the best time for it.
원래는 9월 초부터 당신과 이 이야기를 나누고자 했지만, 가장 좋은 때가 언제일지 감을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I feel as though it would bother the company to request a change of the contract once again. Thus, I'll look like a self employee who doesn't think of anything but her own convenience.
더군다나 계약조건을 다시 한 번 바꿔주십사 요청드리는 것이기에 회사 입장에서는 곤란하실 수 있을거라 느꼈고, 제가 제 안위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직원으로 보여질까 염려하였습니다.
(중략)
Hopefully, you're being considerate of how long I've considered the request, and this is not an impetuous decision.
충동적으로 내린 결정이 아니며 오랜 시간 심사숙고한 요청임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원어민에게 첨삭된 부분
I'm kind of careful cautious since I assume you might may not welcome the request,
→ careful은 cautious (그거 조심해! 가 아닌 조심스러운, 행하기 전에 생각을 많이 했다는 뉘앙스)로 교정됨.
→ might은 may로 교정됨.
...and I've given this a lot great deal of thoguth so far
→ a lot에서 a great deal of thought로 교정됨. a lot 이 틀린 것은 아니겠지만 조금 더 강조하기 위해서 a great deal of로
...I better email you after I totally straighten up out my thoughts.
→ <생각을 좀 정리한 후에 메일을 드리는 게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생각을 straighten out 쫙쫙 펴는 거죠? 마치 스트레칭 하듯이
코멘터리
업무용 영어 이메일은 핵심만 간결하게 쓰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사안이 컸던만큼 말로는 다 장황하게 전달할 수 없기에 장문의 이메일을 보냈던 일화입니다. 간결하게 '계약조건을 xx로 바꿔주실 수 있나요?' 라고 한 문장 딱 이메일로만 보낼 수 없는 경우도 있겠지요 :)